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코피 자주나는 이유 3가지? 코피 멈추는 법, 예방법

by 닥터모닝 2023. 10. 19.

 코피를 잘 흘리지 않는 사람들이 있지만, 다른 사람들보다 코피를 자주 흘리는 사람들이 있으실 텐데요.

 

코피를 한번 흘리기 시작하면 심하게 출혈이 나는 분도 있고 잘 멈추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은 지혈하려고 얼굴을 뒤로 젖히게 되는데요. 

 

 

코피가 나는 이유와 코피를 올바르게 멈추는 법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법도 알려드릴게요.

 

 

 

코피 나는 이유

 

코피가 자주 나는 이유

1. 비염

비염이 있는 분들은 보통 코안의 점막이 건조해져 코피가 자주 날 수 있습니다. 특히 비염 증상이 있는 분들은 습도가 낮을 때 코피가 자주 나는데요. 건조한 환경인 경우 피부 조직이 파열되어 장시간 코피가 나기도 합니다.

 

 

 

2. 혈액 응고 문제

정상적인 면역력을 가진 분들이라면 코피가 났을 때 상처가 쉽게 아물고 혈액이 응고되면서 지혈됩니다. 그러나 혈액 응고가 잘되지 않는 분들은 코피가 났을 때 잘 지혈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고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알레르기

미세먼지, 꽃가루, 미세 진드기, 황사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알레르기가 일어나면 잦은 기침이 나면서 코피 증상이 보일 수 있습니다. 평소에 커튼이나 이불 등을 자주 세탁하고 청소하며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코피를 멈추는 올바른 지혈법

1. 똑바로 앉아 머리를 살짝 앞으로 기울여 주어 혈액이 목뒤로 넘어가는 걸 막아줍니다.

 

2. 콧구멍을 엄지와 검지로 잡아 혈관 압박을 10분에서 15분 정도 해줍니다.

 

3. 냉찜질하기- 콧등에 얼음이나 시원한 수건 등으로 냉찜질을 해주면 혈관이 수축해 출혈이 멈출 수 있습니다.

 

 

4. 코 풀지 않기- 출혈 시 콧속의 이물감으로 인해 코를 세게 풀거나 자주 풀 경우 자극이 되어 더 많은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여러 방법을 써도 출혈이 멈추지 않고 계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받아야 합니다. 만약 20~30분이 지난 뒤에도 출혈이 멈추지 않고 어지러움과 호흡곤란이 발생할 경우 응급으로 여깁니다.

 

 

 

코피 예방법

 

코피 예방법

1. 콧속 비강 부분을 촉촉하게 유지하기- 생리식염수나 비강 스프레이, 가습기 등을 사용하여 콧속의 비강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해 주어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2. 코 후비지 않기- 코를 세게 후빌 경우 비강에 상처와 자극을 주어 코피가 날 위험이 높아집니다.

 

3. 고혈압 관리- 고혈압이 있는 경우 규칙적인 운동이나 체중을 관리하고 고혈압의 처방 약으로 혈압을 낮춰주면 코피가 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4. 코를 풀 때 주의해서 풀기- 코를 강하게 풀면 코를 후비는 것과 같이 자극되어 코피가 날 수 있습니다. 코를 너무 자주 풀지 않는 것이 좋고 풀 때는 너무 강하게 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5. 알레르기 증상 관리하기-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라면 항히스타민제나 알레르기 약물로 증상을 관리해 주어 비강의 자극과 염증을 줄여줍니다.

 

6. 되도록 술은 마시지 않기- 자주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면 혈관이 그만큼 자주 확장되기 때문에 술은 되도록 마시지 않거나 자주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코피가 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동맥경화가 있거나 혈액 응고 장애,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를 먹는 분들이 더 코피가 날 확률이 높습니다. 평소에 콧속의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해 주고 코피가 나기 쉬운 경우들을 잘 관리해 주는 것만으로도 코피가 날 확률이 많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앞서 살펴본 방법들을 통해 코피가 나지 않도록 잘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2023.10.19 - [건강 정보] - 비염치료 비염 증상 예방

 

비염치료 비염 증상 예방

아침, 저녁으로 찬 바람이 불면 이때 가장 먼저 몸과 피부로 느끼는 분들이 있으신가요?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분들이라면 공감하실 텐데요. 특히 가을이 되면 일교차가 커지고 건조한 공기와

morning.berry1213.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