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이 되면서 갑자기 날씨가 추워졌습니다. 마스크 쓰기도 점차 줄어들면서 작년과 다르게 올해는 독감, 감기가 더욱 많이 유행할지도 모른다고 하는데요, 독감예방접종 시기를 잘 챙기셔서 미리미리 예방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 아이나 노약자, 임산부 등은 필히 접종을 하셔야겠죠?
그렇다면 독감을 언제 맞아야 좋을지 독감예방접종 시기와 무료접종 대상자에 대해 알려드리고 주의사항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독감 접종 시기와 무료접종 대상자
1. 노약자
● 만 75세 이상(1948.12.31 이전 출생) - 접종기간: 2023.10.11~ 2024.04.30
● 만 70~ 74세(1949.01.01~ 1953.12.31) - 접종기간: 2023.10.16~ 2024.04.30
● 만 65~ 69세(1954.01.01~ 1958.12.31) - 접종기간: 2023.10.19~ 2024.04.30
2. 임산부
● 임신 여부 확인 가능한 산모수첩 등 증빙 자료 제시자 - 접종기간: 2023.10.05~ 2024. 04.30
3. 어린이
● 13세 이하 어린이(2010.01.01~ 2023.08.31)
2회 접종 대상자 접종기간: 2023.09.20~ 2024.04.30
※ 태어나서 처음 독감을 접종하는 아이는 2회 접종 대상자이므로 1회 차 맞고 최소 4주 후에 2차를 맞아야 하기 때문에 접종기간을 지켜서 꼭 접종해 주셔야 합니다.
1회 접종 대상자 접종기간: 2023.10.05~ 2024. 04.30
예방 접종하기 전 주의사항
보통 독감 예방 접종을 하기 전 감기에 걸리면 접종을 할 수 없다고 알고 있는데 열이 나지 않는 단순한 감기이고 컨디션이 괜찮다면 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1. 접종 전에 열이 난다면 열이 내린 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독감 예방 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국소적으로 접종부위의 발적이나 통증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접종 후 1~2일 후면 사라집니다.
3.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드물게 아낙필라시스와 같은 전신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백신 성분 중에 계란 단백질 성분이 있어 이런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분이라면 접종 전 의사와 미리 상의 후 접종 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독감은 감기와는 다른 바이러스로 발병하고 기저질환이 있는 분이라면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병입니다.
아쉽게도 독감 예방 접종을 하셨더라도 1년이 지나면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에 독감이 유행하기 전 10월에는 매년 꼭 미리 접종을 하셔서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2023.01.01 - [건강 정보] - 코로나 증상과 독감 증상 차이
코로나 증상과 독감 증상 차이
날씨가 추워지면서 장기화하는 코로나와 함께 독감 바이러스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 감기 증상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을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열이 날 경우, 코로나에 걸린 건지 독감
morning.berry1213.com
2022.12.22 - [건강 정보] - 면역력을 높이는 영양소, 추운 날씨에 면역력 높이기
면역력을 높이는 영양소, 추운 날씨에 면역력 높이기
날씨가 영하권으로 떨어지면서 바깥 활동이 줄어들고 호흡기 질환에도 걸리기 쉽다 보니 건강을 챙기시려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와 함께 독감도 유행하고 있어서 건강
morning.berry1213.com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염치료 비염 증상 예방 (0) | 2023.10.19 |
---|---|
코 막혀서 비염인줄알았는데... 부비동염 진단 증상 (0) | 2023.10.18 |
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와 의심해 봐야 하는 질환 (0) | 2023.04.13 |
담석증 증상 및 원인, 다이어트 중이라면 특히 조심! (0) | 2023.01.20 |
한랭 두드러기 증상, 원인 및 치료 (0) | 202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