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바람이 부는 날 외출했다가 따뜻한 실내에 들어오면 피부가 울긋불긋해지고 가려움증이 생기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피부가 찬물이나 찬 공기에 노출되었다가 더운 공기에 노출이 되면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한랭 두드러기'라고 합니다.
한랭 두드러기 원인
한랭 두드러기가 생기는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된 것으로는 피부가 찬 온도에 노출이 되면 한랭 피브리노젠이나 한랭 글로불린이라는 단백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온도변화가 생기면 인체의 면역체계가 방어 작용을 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나오면서 몸의 일부분의 피부가 솟아올라 두드러기 증상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즉, 면역 체계가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에 과민하게 반응하여 생기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랭 두드러기 특징 및 증상
일반적으로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르는 증상이 있고 모기에 물린 것처럼 피부가 창백하고 부풀어 오르는 두드러기 증상이 특징입니다.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붉게 변하는 증상은 수 시간 내에 없어지고 다른 부위에 다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인데 가려움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심한 크기의 경우가 많고 때로는 작은 증상이 합해져 큰 증상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한랭 두드러기는 선천적이나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후천적 한랭 두드러기가 가장 많이 생기는 연령이 18~25세 사이입니다. 유전적으로 드물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랭 두드러기가 후천적으로 생기는 경우는 자율신경계 이상, 호르몬 체계 이상, 인후염과 같은 세균 감염의 후유증, 편도선염, 항경련제, 소염진통제 등 약물 부작용 등의 원인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두드러기 증상이 4주 이상 지속되면 이것을 만성 두드러기라고 하는데 한랭 두드러기는 만성화가 되는 경우가 많아서 평생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랭 두드러기 치료
한랭 두드러기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없고 증상이 나타날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매일 찬 공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거나 증상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예방 차원에서 매일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수 있지만 전문가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고용량의 항히스타민제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 부신피질호르몬과 같은 면역억제제 등이 일시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랭 두드러기 예방법
한랭 두드러기가 발생하면 우리 생명에 지장을 주거나 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일상생활을 하는 데 많은 불편함을 주게 됩니다. 그리고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약물 복용을 통해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재발이 잘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습기를 틀어서 습도를 40% 이상으로 맞춰줍니다.
- 실내 온도를 18~20℃로 유지합니다.
- 추운 날씨에 외출은 되도록 삼갑니다.
- 외출할 때는 노출 부위를 최소화하고 피부가 추위에 직접 노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합니다.
- 샤워는 하루에 한 번 정도 하는 것이 좋고 목욕은 따뜻한 물에 5~10분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 평소에 수분 섭취를 많이 하고 비타민이 많이 있는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어 면역력을 높입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와 의심해 봐야 하는 질환 (0) | 2023.04.13 |
---|---|
담석증 증상 및 원인, 다이어트 중이라면 특히 조심! (0) | 2023.01.20 |
수족냉증 원인, 극복 방법, 수족냉증에 좋은 음식 (0) | 2023.01.09 |
섬유근육통 원인 및 증상, 치료 (0) | 2023.01.07 |
코로나 확진자 지원금 신청하세요!(23.1.1 이후~)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