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러운 이명이나 어지럼증이 생기면서 한쪽 귀가 먹먹해지는 경우가 있으신가요?
돌발성 난청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수 시간에서 2~3일 이내에 청력손실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돌발성'으로 전조 증상 없이 갑자기 한쪽 또는 양쪽 귀의 청력이 손실되거나 저하되는 증상입니다.
돌발성 난청은 연간 10만 명당 10명 이상 발병하며 30~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보통 난청이 한쪽 귀에 오는 경우이지만 드물게 양쪽 귀 모두 난청이 오기도 하는데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회복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응급 질환으로 분류되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돌발성 난청 원인
돌발성 난청은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일부 알려진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혈관장애나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성 질환, 청신경 종양, 달팽이관에 있는 와우막 파열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척추동맥 손상이나 급작스러운 소음 노출, 당뇨, 외림프 누공 등이 있습니다.
돌발성 난청 증상 및 진단
돌발성 난청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명
- 귀가 꽉 찬 느낌(귀 먹먹함)
- 현기증
돌발성 난청의 진단은 원인을 확실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돌발성 난청의 직접적인 진단이라기보다 응급 질환인 만큼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치료할 수 있는 원인을 제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단합니다.
어지럼증이 동반된 경우 전정신경 검사를 하고 청신경종양 여부 검사를 위해 MRI나 뇌간 유발반응검사를 합니다.
이 외에 갑상선기능검사, 혈당검사, 매독 혈청 반응검사, 혈중지질 검사 등 내과 질환의 원인을 찾기 위해 혈액검사와 염증성 질환 검사 등을 하기도 합니다.
돌발성 난청 치료
돌발성 난청은 응급질환인 만큼 초기의 집중 치료와 절대 안정이 중요한 질병입니다. 발생 후 7일 정도를 골든 타임으로 보고 있으며 치료제는 추정되는 원인에 따라 스테로이드, 항염증제, 혈액순환개선제, 항바이러스제, 혈관확장제, 이뇨제 등이 쓰입니다.
그중 스테로이드는 돌발성 난청을 치료하는 데 대표적으로 쓰이는 항염증제로 80% 정도에서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고 고용량에서 저용량으로 1주~2주에 걸쳐 감량해 나가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구 투여로 치료하는 경우 효과가 별로 없는 경우 필요에 따라 고막 주사를 통해 스테로이드를 주입하기도 하는데 경구 복용의 약은 동네 병원에서 처방받을 수 있고 고막 주사의 경우 2 차급 이상 병원에서 가능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입원하여 안정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고 치료와 함께 청력 검사를 통해 경과를 관찰해야 합니다.
돌발성 난청 예후
돌발성 난청이 발생한 경우 그중 1/3은 정상 청력으로 회복하고 1/3은 정상적으로 회복되지 않고 청력이 조금 감소한 경우이고 1/3은 청력이 회복되지 않거나 더 나빠질 수 있습니다.
난청이 심할수록, 어지럼증이 동반되었던 경우, 치료가 늦을수록 회복률이 떨어진다고 보고 되어있습니다.
소아나 40세 이상의 성인에서도 상대적으로 예후가 안 좋으며 발병 2주 이내에 치료가 시작되어야 예후가 좋다고 되어있습니다.
돌발성 난청 예방과 생활
짜고 기름진 음식은 피하며 흡연과는 연관성이 크지 않다고 합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고 스트레스받지 않도록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다가 다리에 쥐|다리 경련 원인 푸는법 (0) | 2023.11.23 |
---|---|
이명 치료방법 증상 원인 (0) | 2023.11.22 |
관자놀이 통증 |측두동맥염 (0) | 2023.11.17 |
쇼그렌 증후군 증상 치료 및 관리법 (0) | 2023.11.16 |
폐렴 증상 예방접종, 폐렴에 좋은 음식 (0) | 2023.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