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쌀쌀해지고 찬 바람이 불면서 날씨의 영향을 받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갑자기 무기력해지고 아무것도 하기 싫은 감정이 들 때가 있거나 주변에서 '그냥 기분이 우울하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라고 말하는 것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텐데요.
주변에 날씨의 영향을 받는 분들을 종종 볼 수 있지만 유독 가을이나 겨울에 이런 우울감이 생겼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처럼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는 가벼운 경우도 있지만 치료가 필요한 부분도 있습니다.
오늘은 우울증 중에서도 날씨와 계절의 영향을 받는 계절성 우울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찬바람과 우울한 기분이 관련이 있나요?
계절성 우울증은 햇빛이 줄어들면서 멜라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이 깨지거나 제대로 분비되지 않을 경우 신체리듬이 깨져서 우울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정서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일조량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계절성 우울증은 일조량이 줄어드는 가을이나 겨울에 시작되었다가 일조량이 늘어나는 봄이나 여름이 되면 자연스럽게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남성보다 여성이 2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 증상은?
일반 우울증이 식욕 저하, 체중 감소, 불면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지만 계절성 우울증은 잠이 많아지고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그리고 식욕이 왕성해지면서 탄수화물과 단 음식의 섭취가 늘어나고 살이 찌게 됩니다.
일반 우울증 | 계절성 우울증 |
식욕 저하 | 식욕 왕성 |
무기력 | 무기력 |
불면증 | 과수면 |
우울감 | 우울감 |
계절성 우울증 자가 진단하기
- 식욕이 늘고 체중이 증가했다.
- 밤낮없이 졸리고 계속 자고 싶고 움직이기 싫고 무기력하다.
- 평소보다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고 실수가 늘었다.
- 매사에 의욕이 없고 우울한 감정이 지속된다.
- 갑자기 이유 없이 눈물이 나거나 감정 기복이 심해지고 슬픔을 자주 느낀다.
- 다른 사람 반응에 매우 예민하고 민감해졌다.
- 같은 계절마다 반복적으로 이런 증상을 겪는다.
위 항목 중 3개 이상의 항목에 해당하고 2주 이상 지속된다면 전문 기관을 방문해 계절성 우울증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계절성 우울증 극복하는 법
1. 실내 조명을 밝게 유지하고 낮에 야외 활동량을 많이 늘려줍니다.
하루에 30분 이상 햇볕을 쬐면 '세로토닌'이라는 행복 호르몬을 활성화해주고 비타민D의 형성에 도움을 주어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실내에서는 커튼을 걷고 창가에 들어오는 빛을 많이 받고 조명을 되도록 밝게 유지해줍니다.
2. 규칙적이며 균형 있는 식생활을 합니다.
탄수화물과 단 음식의 섭취를 줄이고 영양이 풍부한 균형 잡힌 식사를 합니다. 비타민D가 들어있는 계란 노른자나 우유, 표고버섯,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생선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규칙적으로 자는 습관을 들입니다.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습관을 들여서 규칙적인 생활 리듬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4.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생활합니다.
우울감이 들 때는 혼자 있기보다 주변에 대인관계를 통해 기분 전환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되도록 긍정적인 마음으로 생활하는 것이 좋습니다.
낮에 활동량 늘리고 균형 잡힌 영양 섭취하기!
계절성 우울증의 증상이 계속될 경우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계절성 우울증은 항우울제 투여나 매일 일정한 기간 강한 광선에 노출해 치료하는 광선요법 등을 통해 효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생활 습관을 변화시켜 우울증의 원인이 되는 부분을 해결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증상과 독감 증상 차이 (0) | 2023.01.01 |
---|---|
이석증 증상, 이석증 원인과 치료 (0) | 2022.12.31 |
빙판길 고관절 골절 조심하세요! (0) | 2022.12.27 |
겨울철 안면홍조증과 예방법 (0) | 2022.12.20 |
여드름과 피부 관리 법 (0)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