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를 시작하기 위해 다이어트 방법들을 알아보고 있으신가요?
살이 빠지기 위해서는 적게 먹고 운동을 많이 하거나 활동을 많이 하면 된다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일 것입니다.
하지만 식단을 제한하는 것이나 운동을 힘들어하시는 분들은 이 외에도 좀 더 살이 잘 빠지기 쉬운 식단이나 방법들에 대해 궁금해하실 텐데요.
오늘은 그 방법 중 많이들 소개되고 있는 저탄고지 다이어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탄고지 다이어트란?
키토제닉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저탄고지 다이어트는 키토제닉 다이어트라고도 불립니다. 지방을 많이 섭취하고 탄수화물을 아주 적게 섭취하는 키토제닉 다이어트는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나 고단백 다이어트와 비슷합니다.
저탄고지 다이어트 또한 탄수화물의 섭취를 제한하고 지방의 섭취를 늘리는 방법으로 탄수화물을 제한하여 우리 몸을 '케토시스'라는 대사 상태에 빠지게 만드는 것입니다.
몸이 케토시스 상태가 되면 간은 지방을 케톤체로 바꿔 뇌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몸에서는 지방을 태워 에너지로 사용하게 됩니다.
저탄고지 다이어트 장점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의 장점은 혈중 인슐린 레벨과 혈당을 급격히 낮추게 되면 키톤체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여러 가지로 건강에 좋은 효과가 있다는 점입니다.
공복감도 거의 없고 칼로리를 계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힘들지 않게 다이어트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많은 분께 인기 있는 다이어트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만으로도 혈당, 혈압 수치의 개선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개선되고 치매와 암을 예방하기도 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의 방법에는 지방 60%, 단백질 35%, 탄수화물 5%로 맞춰서 하는 고단백 키토제닉 다이어트와 지방 75%, 단백질 20% 탄수화물 5% 정도로 맞춰서 하는 스탠더드 방법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의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는데 이 방법들 모두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위험도를 낮추고 효과적으로 체중 감량을 할 수 있다고 보고가 되어 있습니다.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 주의해야 할 점
아무리 좋은 다이어트라도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 저탄고지식을 하게 되면 '키토플루'라는 증상을 겪게 됩니다. 이 증상은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를 시작하면 첫 시작일로부터 며칠 안으로 기운이 없고 몸의 에너지가 부족해 정신이 몽롱해지고 울렁거림이나 수면 장애, 소화불량, 설사, 심한 공복감 등이 부작용이 생기게 됩니다. 이 시기를 잘 넘겨야 몸이 적응하게 됩니다.
- 전해질, 비타민, 미량원소의 부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방과 단백질에 기울어진 식사를 하게 되면 부족한 영양소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를 일시적인 것이 아닌 2~3개월 동안 열심히 한 후에 다시 일반 식사를 하게 되면 몸무게가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는 요요 현상이 온다는 점입니다. 평생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를 할 수가 없고 외식 문화와 한식의 특성상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를 계속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는 근육을 늘려야 하거나 운동선수들에게는 좋은 다이어트 방법은 아니고 당뇨 전 단계에 있거나 비만 등 대사증후군이 있는 분들에게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어떤 다이어트를 하더라도 꾸준히 하거나 몇 개월 동안 해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시작 전에 다이어트 방법에 대한 조사를 충분히 하시고 시작하시면 좋겠습니다.
2023.01.20 - [건강 정보] - 담석증 증상 및 원인, 다이어트 중이라면 특히 조심!
담석증 증상 및 원인, 다이어트 중이라면 특히 조심!
여러 가지 이유로 다이어트를 시작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다이어트도 좋지만 무리하게 하면 뜻하지 않은 병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지나치게 다이어트를 할 경
morning.berry1213.com
'영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당 낮추는 음식 혈당 낮추는 운동 (0) | 2024.06.04 |
---|---|
기관지에 좋은 음식|감기에 좋은 음식 (0) | 2023.12.07 |
면역력 높여주는 1월 제철 음식 알아보기! (0) | 2023.01.10 |
감기약 제대로 알고 먹기! 감기약 복용 (0) | 2023.01.06 |
면역력을 높이는 영양소, 추운 날씨에 면역력 높이기 (0) | 2022.12.22 |
댓글